![]() |
▲ WCBF 포럼 포스터 |
[뉴스시대=김정희 기자] 부산시는 내일(24일)부터 25일까지 양일간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로컬 문화와 공간이 만드는 도시의 정체성: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2025 부산 세계 도시브랜드 포럼(WCBF)'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부산 세계 도시브랜드 포럼은 2023년 첫 개최 이후 국내외 도시브랜드 및 마케팅 전문가들이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비전과 전략을 공유하는 국제 교류의 장으로 성장했다.
특히 올해는 부산 대표 가을 축제 '페스티벌 시월'과 연계해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열린 행사로 진행된다.
지난해까지 도시브랜드의 전반적 방향과 정체성에 집중했다면, 올해는 ▲공간·디자인 ▲축제·콘텐츠 등 구체적인 수단을 통해 시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브랜드 전략을 모색한다.
아울러 전야 행사를 신설해 포럼을 양일간 운영하며, 전문가뿐 아니라 대학생·시민 등 다양한 계층의 참여와 논의 폭을 한층 넓힌다.
전야 행사(9월 24일)는 '도시 공간이 되다 : 경험으로 완성하는 브랜드'를 주제로 특강과 종합 토론이 진행된다.
▲존 커 카우(세계은행 수석 도시전문가) ▲김현선(한국디자인단체 총연합회 회장) ▲마사유키 사사키(오사카시립대학 명예교수) ▲우신구(부산시 총괄 건축가)가 특강을 진행해 공간과 도시의 정체성 형성에 대해 다각적인 시각을 제시한다.
이어지는 종합 토론에서는 우신구 부산시 총괄 건축가를 좌장으로 연사들이 함께 참여해 ‘기억과 배려가 만드는 사람 중심의 도시디자인과 도시브랜드’를 주제로 도시 공간과 정체성 형성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공유한다.
본 행사(9월 25일)는 '도시, 콘텐츠가 되다 : 문화와 축제의 힘'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기조연설은 스티브 아들러 전(前) 오스틴 시장이 맡아 ‘도시 정체성을 핵심 경제 전략으로 활용’을 주제로 문화와 도시 정체성이 경제 발전을 이끄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어 ▲토니 랭캐스터 에든버러 프린지 소사이어티 대표가 ‘도시와 축제의 성공 요인과 지속적 영향’에 대해 발표하고 ▲총 조우 아티 레트로(ArTy ReTro) 설립자는 ‘내가 가는 곳은 언제나 예술을 위한 길이다.
예술은 도시의 최고의 브랜드다.’라는 주제로 강연을 이어간다.
▲김홍기 스페이스오디티 대표는 ‘한류 4.0시대 부산이 케이팝과 열성팬(팬덤)을 활용하는 방안’을 공유한다.
이후에는 나건 부산시 총괄 디자이너를 좌장으로 연사들이 함께하는 종합 토론이 진행되며, 세계디자인수도(WDC)와 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부산의 발전 전략을 논의한다.
특히, 본행사에는 박형준 시장이 직접 연사로 나서 '문화와 공간, 디자인으로 연결되는 부산의 미래'를 위한 비전을 제시한다.
박 시장은 부산이 지닌 공간과 문화의 힘을 바탕으로, 국내 최초 유네스코 세계 유산위원회 개최 등 최근 국제 무대에서 거둔 성과를 소개하며, 부산의 위상을 강조할 예정이다.
또한, 2028 세계디자인수도 비전과 부산을 ‘모두를 포용하는 디자인 도시’로 만들기 위한 실행 전략을 제시한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은 바다와 산, 강이 어우러진 천혜의 공간적 자산 위에 독창적 문화와 디자인을 더해 도시브랜드의 새로운 길을 열고 있으며 특히 2028 세계 디자인수도 지정은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부산의 미래 전략을 세계와 공유하고 문화·공간·디자인을 아우르는 도시브랜드의 새로운 모델을 만드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시대. 무단전재-재배포 금지]